학생사회가 흔들리고 있다. 서울의 한 사립대의 경우 지난해 11월 총학생회 선거에 아무도 입후보하지 않아 올해 보궐선거가 시행됐으나 투표율이 25%에 불과해 이 마저도 무산됐다. 우리대학도 지난해 투표율 미달로 학생회 선거가 무산돼 올해 보궐선거가 진행된 경험이 있다. 

과거 총학생회는 학생사회를 이끄는 것을 넘어 사회적 분위기를 주도하는 역할까지 할 정도로 영향력이 강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최전선에 서 있었던 것은 물론, 그 당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람들은 우리 사회 리더로 성장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현실은 과거와 너무나 달라 보인다. 실제로 지난 5월 중앙SUNDAY와 서울 지역 학보사들이 함께 ‘총학생회 인식’에 관한 조사를 진행했다. 우리대학과 연세대, 한양대를 비롯해 전체 10개 대학에서 92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현재 총학생회 회장의 이름을 안다고 대답한 응답률은 34%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서 여러 분석이 있다. 민주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앞장서 이끌던 총학생회가 이제는 그만한 정치적 의제를 잃어버렸다는 주장도 있고, 취업난으로 과거 대학생들과는 달리 바쁜 삶을 살 수밖에 없는 환경 속에서 자연히 관심이 줄었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시대는 점차 변하는데도 불구하고 총학생회의 여전한 운동권적 모습에 학생들이 실망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문제의 본질은 아닌 듯하다. 조사결과 여전히 70%가 넘는 학생들이 총학생회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총학생회의 성향이 운동권이든 비운동권이든 상관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절반이 넘으며 오히려 비운동권 지지(17.4%)보다 운동권 지지(25.9%)가 더 높기도 했다.

그렇다면 문제의 핵심은 무엇일까. 학생들은 총학생회의 성향을 가리지도 않고 총학생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동의하고 있지만 정작 총학생회에서 활동할 의향은 현저히 낮다. 응답자 중 총학생회에서 활동할 의향이 별로 없거나 전혀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70%가 넘으며 우리대학만 하더라도 절반이 넘는다. 총학생회를 ‘나’의 영역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즉, 이제 총학생회는 단순히 학생복지 확대냐 사회 운동이냐는 두 기로에 서 있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함께하는 총학생회가 되어야 한다. 실제로 평소 학내 사안에 대해서 어떻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느냐는 질문에 절반 정도가 의견을 피력한 적 자체가 없다고 응답했다.

총학생회는 필요하다면 총장 퇴진 운동도 할 수 있어야 하고 학생 복지에도 크게 힘써야 한다. 그러나 그 원동력은 우리에게서 나온다. 수많은 학생이 총학생회 활동을 보편적인 것으로 여기고, 학생 사회의 크고 작은 의견들을 총학생회에 전하는 것을 당연히 여겨야 한다.

총학생회 역시 앉아서 학생들의 의견을 기다리기만 할 것이 아니라, 학우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들으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최근 흡연부스 조정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물은 것이 그 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일부 수준 낮은 답변들로 곤혹을 치르긴 했지만 이것 역시 한 번도 해보지 않는 것에서 오는 시행착오라고 생각해야 한다.

대학사회는 분명히 위기다. 그러나 어쩌면 ‘대학 사회의 위기’라는 말에 우리도 모르게 무임승차 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총학생회의 위기, 그 해답은 우리에게 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