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석 기자

우리대학 중앙도서관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우리를 맞아주는 것은 교직원이 아닌 근로장학생이다. 우리대학은 교내에서 일하는 근로장학생을 모집하기도 하고 한국장학재단과 연계해 교외로 근로장학생을 파견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근로장학생은 학업과 병행해 안정적으로 학비와 생활비를 벌 수 있다는 점을 큰 장점으로 꼽는다. 그러나 지난달 수면 위로 드러난 근로 장학의 문제점은 학생들에게 노동 불안정성을 안겨줄 우려를 낳았다.
지난 5일, 우리대학 학생지원팀 측은 국고예산 부족을 이유로 85명의 동계방학 교외국가근로장학생들에게 메일로 근로 종료를 통보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근로 계약 기간을 마치지 못한 채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그만둬야 했다. 교외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던 익명의 한 학생은 “근로를 지원했던 것도 학비나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였다”며 “이미 방학 끝 무렵이라 다른 아르바이트를 구하기 어려웠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이와 관련해 학교 관계자는 “한국장학재단은 사전에 교외기업과 계약을 맺고 배정된 예산에 맞춰 학생들을 고용한다”며 “재단과 계약한 한 업체가 원래 계약한 근로시간보다 초과해 근무를 시켜 국고예산이 일찍 소진됐다”고 밝혔다.
또 “재단 측에 문의했으나 작년 12월 회계 종료로 예산을 더 지급할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전하기도 했다. 학교 측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2018년도 국가교육근로장학생 선발시에 우선추천키로 했다.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은 교외기업에 대한 한국장학재단 측의 관리가 소홀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피해는 메일 하나로 해고된 근로장학생들이 고스란히 떠안았다. 재단 측과 교외기업의 계약은 상호 간의 약속이다. 학교는 이를 신뢰하고 장학업무를 진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과 학생, 두 주체가 원만하게 근로를 진행할 수 있도록 무엇보다 재단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리대학보다 먼저 대책을 내놓아야 할 재단 측의 한 발 빼는 모양새는 근로장학생의 노동 불안정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보통의 대학생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있다. 본래 근로 장학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재단 측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